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손해평가 과실손해보장 : 오디

by successsuccess8080 2025. 9. 19.

 

과실손해보장 : 오디
과실손해보장 : 오디


1. 과실손해보장 개요

과실손해보장은 오디, 감귤, 복분자, 무화가 4개 품목있습니다.

여기서 감귤은 온주밀감입니다. 종합위험 수확감소보장에서 감귤은 온주밀감 이었죠.

김귤이 1과목에서 9회에 출제가 되었고 복분자도 9회에 출제가 되었습니다.

무화과는 2번 출제가 되었습니다. 출제가 아직 안된게 오디 입니다.

오디는 언제라도 나올수 있는 부분이라 잘 공부해 두어야 합니다.

그러면 과실손해보장 오감복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오감복무는 보장방식이 2가지로 나누어 짚니다.

종합위험 과실손해보장과 수확전 종합위험 손해보장 나누어 지는데 오디, 감귤은 종합위험 과실손해보장에 해당하고, 복분자, 무화과는 수확전 종합위험 과실손해보장에 해당합니다.

이것은 종합위험이기 때문에 보장기간 전기간에 걸쳐서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를 보장합니다.

이것은 수확전에는 종합위험, 수확후에는 태풍(강풍), 우박만 보장합니다. 그래서 수확전만 종합위험을 보장하기 때문에 보장방식이름 수확전 종합위험 과실손해보장입니다.

 

2. 오디 보장기간과 피해율

오디의 보장기간은 계약체결일 24시부터 결실완료시점까지이며 이듬해 531일을 초과할수 없습니다.

금은 수확감소보장의 개념이기 떄문에 가피자와 같습니다.

수확감소보장 피해율은= 평수미평 이잔아요.

오디의 피해율은 평년결실수에서 조사결실수와 미보상감수결실수을 뺴서 다시 평년결실수로 나누어 산정을 합니다.

두식이 비슷하지요.개념이 똑같다는 이야기에요.

뒤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평년수확량 개념이 오디에서는 평년결실수 이구요, 수확량개념이 조사결실수 개념이에요.

여기 미보상감수량은 미보상감수결실수 개념이에요.

.* 평년수확량 --> 평년결실수.

* 수확량 --> 조사결실수.

* 미보상감수량 --> 미보상결실수.

* 결실수 : 나무에 달려 있는 과실의 갯수.

앞에것 수확감소보장은 단위는 평년수확량, 수학량, 미보상감수량 전부 양이지요,.

그러나 오디의 피해율은 평년결실수, 조사결실수, 미보상감수결실수와 같이 단위가 결실수에요.더 정확히 이야기 하면 나무 1, 1m의 결실수입니다.

 

3. 결실수 개념

결실수라는 것은 나무에 달려있는 과실의 갯수입니다.  다시말해서 수확감소보장은 피해률을 양으로 산정하지만, 오디는 피해율을 결실수로 산정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뭐라구요, 오디는 피해율을 결실수로 산정을 한다는 거예요.

이유는, 오감복무는 수확량 조사를 할수 없는 품목이에요. 수확량조사를 할수 없다는 것은 다른 이야기로 이야기 하면, 무게 조사를 할수 없다는 거예요.

그래서 오감복무는 먼저 알아두어야 할것이 무게조사를 하지 않아요. 무게조사를 하지 않는 다는 것은 개당과중을 산정안한다는 거고 그래서 수확량 산정이 안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수확량이라는 개념으로 접근하는게 아니고, 오디는 나무에 달려있는 과실의 갯수 즉 다시말해서 결실수의 개념으로 접근을 합니다또 한가지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것은 평년결실수, 조사결실수, 미보상감수결실수 모두 나무 1주당 1m의 결실수라는 거예요수확감소보장에서는 평년수확량, 수확량, 미보상감수량에서 여기서의 양은 농지 전체을 대상으로 하는 양 개념이지요.

그러나 오디의 평년결실수 , 조사결실수, 미보상감수결실수의 단위는 결실수 개념이면서, 결실수도 농지 전체의 결실수가 아니라 나무 1주의 결실수, 그것도 나무 1주의 1m 결실수 입니다.

결실수의 단위가 나무1주의 결실수도 아니고, 나무 1주의 1m의 결실수라는 개념잘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수확감소보장과 단위 개념과 차이가 있습니다.

 

4.  표본선택 방법

이렇게 하는 이유는 오디는 살대매처럼 나무 1주의 과실이 너무 많습니다.그래서 과실을 다 셀수가 없어서 그래요.

동일하게 앞에서 나온 과수들은 표본주를 선정하고 그 표본주에서 1주당 착과수를 산정했었잔아요.

그러나 오디는 표본주를 선정하고 그 표본주에서 또 표본주 나무의 일부분으로 또 표본을 선정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나무 1주의 과실이 너무 많아서 그래요.

수확감소보장에서는 1주당 착과수를 산정했잔아요.

조사대상주수룰 산정하고 조사대상주수에서 표본주를 선정해서 표본주의 착과수를 모두 더해서 표본주수로 나무면 1주당 착과수가 나왔잔아요.

여기에 개당과중을 곱하면 1주당착과량이 나왔잔아요.

오디는 이렇게 하지 않습니다. 오디는 양의 개념이 아니라 결실수의 개념이라고 했잔아요.

 

5. 표본가지 선정

 

조사대상주수를 선정하고 조사대상주수를 기준으로 표본주수를 산정 그리고 선정하여 또 이 표본주에서 표본가지를 선정합니다.

앞에서 오디는 과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다 셀수가 없어서 표본주의 또 표본을 선정한다고 했죠.

그래서 이 표본주의 또 표본가지를 선정하는 거예요.

표본가지를 선정하는 방법은 표본주의 가장긴 결과모지 3개를 표본가지로 선정을 합니다.

결과모지란 올해 자란 가지를 결과지라고 하는데 작년에 난 가지를 결과모지라고 합니다.

그리고 3개의 결과모지의 결실수와 가지의 길이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그림처럼 표본주의 가장 긴 결과모지 3개를 선정했다고 할께요.

1m, 0.5m,0.5m 3개의 결과모지에 열린 결실수가 200개 였다고 할께요.

그러면 결과모지 길이합이 2m 이고 결실수 합이 200개가 될거예요.

여기서 결실수합/결과모지길이합 이렇게 계산하면 100이 나오죠.  이것이 나무 1주의 m당 결실수가 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것을 환산결실수라고 하는데 수확감소보장의 1주당착과량과 같은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