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적과전종합위험 : 감수량, 낙과손해감수과실수

by successsuccess8080 2025. 9. 18.

 

1. 감수량 개요

다음으로 2번째 감수량으로 인정되는 것은 적과종료 이후에 보상하는 7개 재해로 줄어든 감수량입니다. 특정위험 7종한정은 어떤 재해가 있는지 한번 다시 기억해 볼께요. 태풍(강풍), 우박, 집중호우.지진, 화재, 일소, 가을 동상해 재해 발생시 보상을 해요 . 7가지 재해는 다 외우셨죠. 태우집지화가 일가로 번졌네. 태우집지화일가.태우집지화일가.누적감수량 산정 방식은 7가지 재해유형을 크게 4가지로 분류하여 누적감수량을 산정합니다. 먼저 첫번째가 태풍 지진 집중호우화재, 두번째가 우박, 세번째가 일소, 네번째가 가을동상해 이렇게 4가지로 분류해요. 4가지 보상하는 재해의 종류에 따라서 누적감수과실수를 산정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릅니다.

 

2. 태풍, 지진, 집중호우, 화재피해 감수량 (낙과, 나무, 낙엽피해)

태지집화는 낙과피해, 나무피해, 그리고 단감떫은감에 한해 낙엽피해을 인정하여 보상합니다. 그래서 각각 낙과손해감수과실수, 나무손해감수과실수 그리고 낙엽피해는 착과피해라고 했으니까 낙엽피해에 따른 착과손해감수과실수를 계산하여 누적감수량으로 더해줘야합니다. 낙과피해, 나무피해, 낙엽피해를 확인하기 위해서 낙과피해조사를 실시합니다. 나무피해, 낙엽피해를 따로 조사안하느냐 할수 있는데 이것은 낙과피해조사시 같이 하게 되어 있습니다.

 

3. 우박, 일소피해 감수량(착과, 낙과피해)

우박이 오면 우박이 과실을 때리니까 착과피해가 있겠죠. 그리고 우박에 맞아서 낙과가 생길수도 있구요. 그래서 우박일 마찬가리조 일소에 의한 강한 햇빛으로 과실 표면이 상하게 되는착과피해가 있을테구요. 과실표면이 상하면 전체적으로 과실이 물러져서 낙과피해가 생길거예요. 그래서 우박, 일소가 오면 누적감수량으로 낙과손해감수과실수와 착과손해감수과실수를 구하여 과실손해보험금을 계산합니다. 그리고 우박, 일소는 낙과피해조사, 착과피해조사 2개를 실시 합니다.

 

4. 가을동상해피해 감수량(착과피해)

가을동상해는 착과피해만 인정을 하므로 착과손해감수과실수만 구하면 됩니다. 착과피해조사 실시합니다. 그런데 태지집화인 경우 조금 이상한게 있습니다. 착과피해가 없지요. 이것은 바로 뒤에 설명을 드릴게요.

 

 

5.  태풍, 지진, 집중호우, 화재 낙과손해감수 과실수

먼저 첫번째 태풍, 지진, 집중호우, 화재 부터 누적감수과실수를 산정하는 방법부터 체크하고 갈게요.4가지 재해의 피해유형에는 뭐가 있을까요.태풍으로 과실이 떨어진 낙과피해가 있을수 있고, 나무가 쓰러져지면 나무피해가 있을수 있구요, 지진에 의한 나무 피해, 집중호우로 나무가 유실이 되어 나무피해가 있을수 있겠죠.그리고 낙엽이 떨어져서 낙엽피해도 있을수 있을테구요. 그래고 태풍 지진 집중호우 화재에 의한 피해로는 낙과피해, 나무피해, 낙엽피해를 인정합니다.당연히 태지집화로 인해 착과피해도 있을수 있는데 이론서 에서는 정말 이상하게도 특히, 사과배의 경우 착과피해를 다른 방식으로 인정을 합니다. 이론서에 보면 앞뒤가 안맞는 부분이 여러 군데가 있습니다. 내용상 서로 상이한 부분도 많구요. 논리적으로 안맞는 부분도 쾌나 되거든요. 제 생각으로 아마 계속 계속 업데이트를 하다 보니 한번 처음부터 끝까지 논리적으로나 내용상으로 맞게 고치면 되는데 집필하는 사람들도 여러명일 테고 부분적으로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그렇기도 한것 같구요. 그리고 실수도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먼저 낙과피해로 인한 낙과손해감수과실수부터 체크하고 갈게요. 낙과손해감수과실수는 사과배와 단감떪은감에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사과배부터 설명을 할게요. 낙과손해감수과실수는 총낙과수에 낙과피해구성율에 max A를 빼고, 이 값에 총낙과수와 1.07을 곱해서 산정을 합니다.

 

5-1 총낙과수 

지금 설명하고 있는 부분이 태지집화 재해가 온경우 사과배의 낙과손해감소과실수를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죠. 낙과손해감소과실수를 구하기 위해서 당연히 낙과수가 어느 정도 되는지 먼저 조사를 해야 되겠죠.낙과수조사는 전수조사를 원칙으로 하며 전수조사가 어려운 경우 표본조사를 실시한다. 그러면 전수조사는 어떻게 하느냐낙과수 전수조사 시에는 조사대상주수 아래에 떨어져 있는 과수원내 총 낙과수를 카운트 합니다.

 

5-2 조사대상주수

여기서 주의할 점은 조사대상주수입니다. 이론서 374페이지 한번 다시 보시겠어요. .조사 대상주수의 특성이 골고루 반영될 수 있도록 표본나무를 선정하고, 표본나무별로 수관면적 내에 있는 낙과수를 조사한다.여기서 수관면적이라는 것은 그림에서 보듯이 나뭇 가지가 뻗어 있는 아래 면적입니다. 표본주별로 이 면적내에 있는 낙과수가 몇개가 있는지 세면 되는 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제는 이론서 374페이지 한번 보시죠. 가번 주수조사 1번 과수원 내 품종·재배방식·수령별 실제결과주수에서 고사주수, 수확불능주수, 미보상주수, 수확 완료주수 및 일부침수주수를 파악한다. 2번 품종·재배방식·수령별 실제결과주수에서 고사주수, 수확불능주수, 미보상주수 및 수확 완료주수를 제외한 조사 대상주수를 계산한다. 여기서 주의할점은 조사대상주수를 산정하는데 기 수확주수도 제외를 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만약에 수확기에 태풍이 왔다고 해볼게요. 그럴경우 과실손해보험금 산정에 필요한 누적감수과실수를 산정을 위해서 낙과수 조사는 나가야 한잔아요. 조사시기가 수확기 이기 때문에 기수확한 과실수도 있을거에요. 이렇게 수확기라 기수확주수도 확인하여 조사대상주수에서 제외를 해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