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품종, 수령, 재배방식이 다른 경우 표본주수 산정방법
이전 강의에서는 뭐까지 배워냐면, 적과후착과수 조사시, 과수원에 있는 전체 조사대상주수의 착과수를 조사하는게 아니고 , 표본주를 선정하여 선정된 표본주만 착과수를 조사한다고 했죠. 이렇게 조사된 표본주 착과수 전체를 더해서 표본주로 나누면 표본주 한주당 평균착과수가 계산이 될거예요. 그런 다음에 이렇게 계산된 한주당 평균착과수에다가 조사대상주수를 곱해서 과수원의 전체 적과후착과수를 산정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표본주 산정표까지 설명을 했습니다. 과수원에 식재된 나무의 품종과 재배방식 수령, 품재수가 이 하나로 동일한 경우에는 조사대상주수표만 잘 외우면됩니다. 외우는 방법은 이전 강의에서 설명을 했으니까 기억이 안나시면 다시 들어보세요. 이 강의를 들의시는분들은 40대부터 50대까지가 많으실거예요. 보고 돌아서면 다잊어 먹죠. 방법은 반복, 반복밖에 없습니다. 과수원에 식재된 나무의 품종과 재배방식 그리고 수령이 하나로 동일한 경우에는 조사대상주수표만 잘 외우면됩니다.그러나 과수원에 품종도 수령도 다른 나무들이 섞어서 심어져 있는 경우에는 표본주수 산정 방식이 약간 다릅니다. 과수원에 식재된 나무의 품종이나 재배 방식 그리고 수령별로 표본주수를 따로 따로 산정을 해야 합니다. 이렇게 따로 산정해야 하는 이유는 예를들어서 과실나무는 수령에 따라서 과실 맺히는 양이 다 제각각이구요 재배방식에 따라서, 그러니까 나무 간격을 촘촘하게 심었느냐 여유있게 심었느냐에 따라서도 착과량이 다 제각각이거든요. 이렇게 품종 재배방식 수령별로 착과량이 다 다르기 때문에 각각에 대해서 구분하여 표본주수를 산정을 해야 합니다.
2. 표본주수 산정 방법 예시
그러면 이런 경우 표본주수를 어떻게 산정을 하느냐. 여기 예시에 스가루 홍로 부사는 사과 품종이름이구요. 반밀식 밀식 일반는 나무간격을 얼마나 두고 심었느냐 인데요. 밀식은 촘촘하게 심은거구요, 반밀식은 밀식보다 조금 덜 촘촘하게 심은 거라고 할수 있어요. 참고로 알아 두시구요조사대상 주수는 어떻게 산정을 한다고 했죠.실제결과주수에서 고사주수 수확불능주수 미보상주수를 뺸것이 조사대상주수라고 했죠.여기 품종은 스가루, 재배방식은 반밀식, 수령은 10년인것이 실제결과주수가 200주 고사주수 10주 수확불능주수 10주 이니까 조사대상주수는 실제결과주수에서 고사주수 10주 실제결과주수 10주를 빼주면 100주가 조사대상주수입니다. 나머지 것도 동일하게 조사대상주수를 먼저 산정을 합니다. 두번째 스가루 반밀식 수령이 10년인것은 실제결과주수 230주 수확불능주수 20주 미보상주수 10 그래서 조사대상주수는 200주 나머지 것도 동일하게 조사대상주수를 계산하고 나면 이렇게 계산한 조사대상주수의 합은 550주가 됩니다. 그러면 조사대상주수를 모두 더한 550주의 표본주수는 50주의 제일 앞자리 5에 7을 더하면 표본주수는 열두주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제 각각의 대해서 적정표본주수 산정은 이렇게 비례식으로 계산을 하면 됩니다. 550주였을때 열두주 였으니까 조사대상주수 100주일때는 몇주인지를 계산하면 계산된 값이 적정표본주수입니다. 주의할점은 적정표본주수로 계산된 값은 소숫점 첫째자리에서 올림을 해야한다는 것이예요. 스가루 반밀식 수령 10년인것을 계산하면 2.18이 나오는데 소솟점 첫째자리에서 올림을 하니까 적정표본주수는 세주가 되는 것에요. 두번째 이것도 비례식으로 계산을 하면 4.36이 나오는데 올림하여 다섯주가 됩니다.
3. 정리
우리가 지금 뭘 배우고 있죠? 적과전 보상하는 재해가 발생했을 경우 착과감소보험금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고 있다는거 기억하시구요. 착과감소보험금을 구하는 식은 뭐라고 했죠? 착미자가보, 착미자가보 라고 했죠. 착미자가보 중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착, 그러니까 착과감소량을 구하기 위해서 착과감소과실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고 있습니다. 뭘 배우고 있는지 중심을 먼저 잡으시구요. 이전강의에서는 적과전에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 재해가 와서 과수원 전체에 피해가 있었을때 착과감소과실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평년착과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