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종합위험 수확감소보장 : 참다래

by successsuccess8080 2025. 9. 18.

 

 

참다래수확감소보장

 

 

1. 참다래 수확감소보험금 개념

수확감소보험금은 가피자라고 했지요.지금 계속해서 반복하고 있지요.아마 자연스럽게 기억이 될거예.여기서 보험가입금액과 자기부담비율은 주어지기 때문에 피해율만 구하면 된다고 했습니다.그렇다면 피해율은 평--/평으로 구한다고 했죠. 미보상감수량=(평년수확량-수확량)*미보상비율이라고 했고요.그리고 평년수확량은 주어지고 미보상감수량 앞에서 처럼 계산을 하면 나머지 남는게 가장 중요한 수확량을 구하게는게 남습니다.이 수확량을 구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했습니다.그래서 12개 과실별도 수확량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배우고 있잔아요.

 

2. 참다래 수확량 산정 특징

참다래의 수확개시전 수확량도 유자처럼 착과수확량+미보상수확량으로 구하면 됩니다.그런데 참다래는 수확량을 구하는데 다른 것과 조금 차이가 있습니다.과실의 생태적인 것을 반영했다고 보시면 되요.먼저 착과수확량부터 식을 다시 다 적어 볼게요.

착과수확량은 착과량(1-착과피해구성률)이고요 착과량은 착과수*개당과중이고 다시 착과수는 조사대상주수*1주당착과수라고 할수 있지요.지금까지 다 해왔던 것이기 때문에 이제는 술술 나와야 합니다.그렇지 않으며 반복 또 반복해서 보셔야 해요.손해평가사시험이 그리 만만한 시험은 아니기 때문에 반복해서.복습하고 풀이가 기계적으로 나오도록 계속 연습하셔야 해요.10회시험 합격률이 5.9% 정도되었을 거예요.이제부터 설명하게 될 참다래만의 수확량을 구하는 방법이 포복자감호두유자와는 다릅니다.참다래는 덩쿨성 이기 때문에 이렇게 나무 한그루에서도 여러 덩굴로 뻗어가기 떄문에 이과실이 어느나무의 과실인지를 알수가 없습니다.한마디로, 나무 1주의 착과수를 알수가 없습니다.그래서 참다래는 수확량을 구할때 이렇게 각각의 나무에 착과된 과일의 수를 기준으로 하는게 아니고 면적을 기준으로 해당 면적의 착과수를 산정하여 수확량을 산출합니다.

 

3. 조사대상면적과 재식면적 계산 

그래서 주수가 나오면 무조건 면적으로 바꾸기 위해서 재식면적이라는 것을 곱해줘야한다. 그러면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그래서 여기 조사대상주수가를 조사대상면적으로 바꾸고 1주당착과수가 m2당착과수로 바뀌게 보겠습니다. 조사대상면적*m2착과수는 이렇게 면적단위로 바꾸면 당연히 전체 착과수가 나오겠죠. 그렇다면 조사대상면적을 산정할수 있어야 하는데 조사대상면적은 조사대상주수*재식면적으로 계산을 할수가 있습니다. 재식면적이라는 것은 나무 1주가 자라는데 필요한 면적이라고 정의하는데 그래서 여기에 조사대상주수를 곱하면 조사대상면적을 쉽게 계산할수 있습니다. 나무 1그루가 자라는데 필요한 면적, 재식면적은 주간거리와 열간거리를 곱하여 구하는데 나무가 이렇게 이렇게 심어져 있을때 이것을 주간거리, 이것을 열간거리라고 합니다. 이 주간거리 열간거리를 곱하면 나무 1주가 자라는데 필요한 면적이 나옵니다. 재식면적은 문제의 조건에서 주어지거나, 또는 주간거리,열간거리가 주어면 재식면적은 구하기만 하면 됩니다.일반적으로 우리가 학습해 왔던 조사대상주수를 참다래 수확량식으로 바꿀때에는 면적으로 환산을 해야하기 때문에 조사대상주수에 재식면적을 항상 곱해줘야합니다.

 

4. 표본구역과 m2 착과수 산정

조사대상주수를 기준으로 표본주를 산정하고 표본주를 선정해서 해당 표본주의 착과수를 세는게 아니고,.그래서 해당 과실이 어느 나무에서 자란건지를 알수가 없기 때문에, 그래서 표본주가 선정이 되었으면 표본주를 기준으로 해당 표본주의 표본구역을 설정합니다.그리고 해당 표본구역내 착과된 과실의 갯수를 세는 거예요.이렇게 표본구역의 착과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알고 계시면.다음으로 설명할 m2착과수를 산정하는 방법이 이해가 되실거예요.m2착과수는 표본구역 전체의 착과수합계를 표본구역 전체의 면적으로 나누면 m2착과수가 나오겠죠.그렇다면 표본구간 전체의 착과수 합계는 주어지니까 문제가 안되는데 문제는 표본구간 전체의 면적을 계산하는게 문제입니다.여기서 주의할것은 표본주가 10개면 표본구간도 10개가 되는 거예요.문제에서 표본주가 10개라면 표본주를 기준으로 표본구간을 설정하기 때문에 표본구간도 10개구나라고 면저 생각하시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표본구간의 면적이 다 다를수 있지만 문제에서는 표본구간의 면적이 같다는 전제하에 주어짚니다.이제 표본구간 1개의 면적만 주의 지면 표본구간수*표본구간1개의 면적해서 표본구간 전체의 면적을 구할수 있겠죠.표본구간 1개의 면적은 문제에서 위변과 아래변 높이가 주어지기 떄무넹 이걸로 표본구간 1개의 면적을 구하면 됩니다.문제에서 윗변아래변높이가 주어지는 이유는.사다리꼴의 면적공식은 (윗변+밑변)*높이/2 잔아요.직사각형, 정사각형도 동일하게 이걸로 면적을 구할수 있습니다.사각형 형태의 면적은 다 이 공식으로 면적을 구할수 있기 떄문에 위션 밑변 높이가 주어지고 이걸로 면적을 구하면 됩니다.과중을 구하는 것도 똑같습니다.

다만, 밤호두는 앞에서 30mm 초과와 30mm이하로 구분을 하고 30mm이하는 무게의 80%만 적용한다고 했죠.

참다래도 이렇게 구분을 하는데.참다래는 무게로 구분을 합니다.50g초과와 50g이하로 구분을 하고 50g이하는 무게의 70%만 반영을 합니다.개당과중=(50g초과표본과실의 무게합 + 50g이하표본과실의 무게합)/표본과실수.착과피해구성률도 유자와 똑같습니다.품종별 3주 이상의 표본주에서 임의의 과실 100개 이상을 선정하여 표본과실을 피해인정계수 분류에 따라 피해정도에 따라 50%피해, 80%피해 100%피해를 구분하여 착과피해구성률을 계산을 합니다.다음으로 미보상 수확량입니다.

 

5. 미보상수확량 산정

지금까지 배워왔던 미보상수확량=미보상주수*1주당평년수확량이잔아요.이것도 전부 면적 단위로 바꾸어야합니다.그래서 참다래의 미보상수확량=미보상면적*m2평년수확량 이렇게 쓸수가 있고.미보상면적은 미보상주수에 미보상주수가가 나오면 면적으로 바꾸기 위해서 항상 재식면적을 곱해주므로 미보상주수*재식면적으로 미보상면적을 다시 쓸수 있습니다.그래서 미보상주수는 재식면적을 곱해서 미보상면적으로 바꾸고, 그렇다면 1주당평년수확량은 m2평년수확량이 되야 하기 때문에 평년수확량을 실제결과주수*재식면적 으로 나누면 됩니다.품종이 여러품종일 경우 품종별 m2평년수확량을 구하는 방법도 알아 두어야 합니다.

A품종의 1주당 평년수확량=평년수확량*A품종표준수확량/(A표준수확량+B표준수확량) / A품종의 실제결과주수 이렇게 구한다고 했죠.이걸을 A품종 m2평년수확량= 평년수확량*A품종표준수확량/(A표준수확량+B표준수확량) / A품종의 실제결과주수*재식면적.이렇게 재식면적을 곱해주면 a품종 m2평년수확량이 계산됩니다.참다래의 다에서 사다리를 연상하고 사다리꼴의 면적단위로 환산한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포복자감밤호유는 1주당착과수를 구하지만 참다래는 m2착과수를 구한다는것도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