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적과전종합위험 : 착과감소과실수 계산방법, 일부 피해의 종류, 나무피해율계산 두번째케이스는 종합위험에 가입하고 나무의 일부 피해만 온 경우 착과감소과실수를 구하는 방법이에요. 중요한건 종합위험에 가입하고 나무의 일부 피해만, 뭐라구요, 나무의 일부피해만 온 경우라는 거예요. 이론서에 383페이지 한번 볼까요 다항목에 피해사실확인조사에서 모든 사고가"피해규모가 일부"인 경우만 해당한다고만 되어 있고 이론서에는 피해규모가 일부라고만 되어있지 추가 설명이 없습니다. 그래서 시험에 두번째케이스 일부 피해 문제가 나오면 문제의 제시 조건에 나무의 일부피해라고 명확하게 조건을 제시해 줍니다. 시험 조건에서 절대 놓치지 말고 체크를하셔야 해요 이것은 다음시간에 기출문제에서 확인해 보도록 할게요. 1. 일부 피해 재해의 종류그러면 과수원의 일부 피해를 발생시킬수 있는 재해는 자연재해 조수해 화.. 2025. 9. 16.
적과전종합위험 : 표본주수 산정방법 1. 품종, 수령, 재배방식이 다른 경우 표본주수 산정방법 이전 강의에서는 뭐까지 배워냐면, 적과후착과수 조사시, 과수원에 있는 전체 조사대상주수의 착과수를 조사하는게 아니고 , 표본주를 선정하여 선정된 표본주만 착과수를 조사한다고 했죠. 이렇게 조사된 표본주 착과수 전체를 더해서 표본주로 나누면 표본주 한주당 평균착과수가 계산이 될거예요. 그런 다음에 이렇게 계산된 한주당 평균착과수에다가 조사대상주수를 곱해서 과수원의 전체 적과후착과수를 산정한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표본주 산정표까지 설명을 했습니다. 과수원에 식재된 나무의 품종과 재배방식 수령, 품재수가 이 하나로 동일한 경우에는 조사대상주수표만 잘 외우면됩니다. 외우는 방법은 이전 강의에서 설명을 했으니까 기억이 안나시면 다시 들어보세요. 이 강의를.. 2025. 9. 16.
적과전종합위험 : 조사대상주수, 적과후착과수, 표본조사 방법 1. 조사대상주수란 무었인가다음으로, 조사대상주수에 대해서 설명해 드릴께요조사대상주수라는게 무었이냐면, 바로 적과후착과수를 조사하는 대상이 되는 나무수라는 거예요.조사대상주수가 뭐라구요.적과후에 착과수를 세는 대상이 되는 나무수이기 때문에 나무에 과실이 있어야 해요.그렇다면, 조사대상주수는 과수원에 식재된 모든 나무수, 바꿔말하면 실제결과주수에서 뭘 빼야할까요. 그렇죠 나무에 과실이 없는 고사주수와 수확불능주수 미보상주수 이 3개는 제외를 해야 합니다.그래서 조사대상주수 산정 방법은 실제결과주수에서 고사주수와 수확불능주수 미보상주수 이3개를 빼면 바로 조사대상주수를 산정할수 있어요.예들들어 보험에 가입한 사과과수원의 실제결과주수가 1000주가 있었다고 할께요.그중에서 고사나무가 100주가 있었고 수확불능.. 2025. 9. 15.
손해평가사 : 착과감소과실수 산정하기, 적과후착과수 조사, 표본조사의 개념 1. 착과감소과실수 산정하기첫번째 케이스, 종합위험에 가입하고 자연재해 조수해 화재가 온 경우 착과감소과실수를 구하는 방법부터 설명을 해볼게요. 예를들어 A과수원에 자연재해가 왔다고 할게요. 그러면 자연재해라는 것은 광범위한 범위에 피해를 입히는 것이기 때문에 과수원 전체 다 피해가 있을거예요. 자연재해로 인해 과수원 전체에 골고루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착과감소과실수를 구하는 방법도 아주 간단합니다. 착과감소과실수는 평년착과수에서 적과후착과수를 뺀값이 바로 착과감소과실수입니다. 과실수가 아니고 양으로 설명을 하면, 착과감소량은 이식에서 가입과중이 평년착과수와 적과후 착과수에 각각 곱해지면 평년착과량에서 적과후착과량을 뺸것과 같다고 이라고도 할수 있겠죠 적과전에 태풍이 와서 과수원에 피해가 있었고, 보험 .. 2025. 9. 15.
손해평가사 : 예상착과량, 평년착과량 산정방법, 착과감소량과 착과감소과실수 산정 1. 예상착과량 산정 방법그렇다면 보험을 가입할때 가입하는 예상착과량은 어떻게 산정을 할까요. 평년착과량 이라는 값을 가입할해의 예상착과량으로 사용을 합니다. 그러면 이제 이 평년착과량이 무었인지 알아봐야겠네요. 평년착과량는 과거 5년간 이 과수원의 평균적인 착과량을 의미합니다. 보험가입 이전의 과거 5년간 A라는 과수원의 평균적인 착과량은 이정도 였어 라고 산정한 값이 있는데 이것이 평년착과량입니다. 그래서 과거 5년간 A라는 과수원의 평년착과량이 이정도 였으니까, 올해도 이평년착과량정도는 되지 않겠어 라고 생각하고 가입할 해의 예상착과량으로 사용을 합니다 2. 평년착과량 산정 방법이 평년착과량을 구하는 방법은 2차시험 1과목에서는 아주 아주 중요합니다. 그러나 지금 배우고 있는 2과목에서는 조건으로 .. 2025. 9. 14.
손해평가사 : 착과감소보험금식, 감소감수차이 1. 착과감소보험금식 - 착미자가보그러면 먼저 착과감소보험금부터 체크하고 갈게요. 착과감소보험금은 글자그대로 착과가 감소되었을때 주는 보험금입니다. 여기 착과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착과라는게 무었일까요. 나무에 달려있는 과실이라는 뜻인데, 다시말해서 나무에 달려있는 과실이 감소하였을때 주는 보험금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착과감소보험금의 산정식은 착과감소량에서 미보상감수량을 빼고, 자기부담감수량도 빼서 가입가격과 보장비율을 곱해서 산정을 합니다.이거 아주 중요한 식입니다. 이 식을 다시 이렇게도 쓸수 있어요. 여기 감소양이나 감수량으로 되어 있죠 . 이것의 단위는 킬로그래입니다. 이 감소감수량은 감소감수과실수 곱하기 가입과중으로 바꿀수가 있습니다. 가입과중은 과실1개의 무게입니다. 가입가격은 과실 1kg당 .. 2025. 9. 14.